서울시 '재난 긴급생활비' 누가 어떻게 지원 받나?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2020. 3. 18. 21:053분 해설

서울시 2020년 가구별 중위소득 100% 기준 소득 기준(1000원미만 절사)

 

서울시가 코로나19(COVID-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을 직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자체중에서는 전주시에 이어 2번째로 재난 긴급생활비를 월수입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최대 50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포스트 참조. http://3boon.kr/15

 

서울시, 재난 긴급생활비 최대 50만원 지원

시스템 통한 소득조회로 신청절차 간소화, 3~4일내 지급... 3.30일부터 접수 서울시가 코로나19(COVID-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을 직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자체중에서는 전주시에 이어 2번째로 재난..

3boon.kr

 

[추가 시작 / 4월 1일]

서울시청 웹사이트에서 신청하기 페이지가 3월 30일 오픈되었습니다. 일시에 접속자가 몰리는 것을 예방하고자 마스크 구매와 같은 방식으로 세대주의 주민번호 생년뒷자리에 따라서 신청 가능한 요일이 정해졌습니다.
[94년생, 69년생은 목요일 신청 / 91년생, 66년생은 월요일 신청이 가능합니다.]

http://wiss.seoul.go.kr 

 

http://wiss.seoul.go.kr

 

wiss.seoul.go.kr

신청기간: 2020.03.30(월) ~ 05.15(금) 18시
신청대상: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2020. 3. 18.(수) 0시 기준 서울시 거주, 가구단위 지급)
* 기존 정부지원 혜택 가구 제외 : 코로나 19 지원가구, 긴급 복지 수급자, 일자리 사업 참여자 등 (세부내용 신청서 참조)
참고사항: 기간내 신청한 유자격자는 모두 지원대상임 ※ 선착순 아님

※ 시스템 과부하 방지를 위해 신청인 출생연도 마지막 숫자에 따라 5부제 신청 예) 1994년, 1999년 생은 요일 신청
신청하기 전에 미리미리 아래 개인정보동의서를 미리 다운받아 꼭 자필로 작성해서 이미지파일로 스캔해서 준비하셔야 편리합니다.  [개인정보동의서(pdf) / 개인정보동의서(hwp)]

개인정보 동의서에 가족 전체의 이름과 서명을 각각 받으셔야 합니다. (단,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보호자 또는 후견인이 서명 가능합니다)
반드시 스캔하시어 이미지 파일로 준비하셔야 합니다. (PDF 파일 접수 불가임.)

[추가 끝 / 4월 1일]

 

 

그럼 대상자는 어떻게 되며, 어떻게 신청하는 것인지 알아본다.

 

 

 

가구별 중위소득 100% 이하가 지원 대상자입니다. 중앙정부에서 추진하는 '코로나 19' 정부지원 긴급 지원 혜택 가구(저소득층 한시생활지원 사업 대상자, 특별돌봄쿠폰 지원대상자,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비용 지원) 등은 제외됩니다. 이는 동일 사항에 대한 중복 혜택을 막기위한 조처입니다.

 

지급 기준은 단지 가구당 월 소득만을 기준으로 하며, 업종이나 직업의 종류와는 상관없습니다. 소득에 대한 조사 및 검증은 지난해인 2019년도분 수입을 국세청 및 4대보험 납부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시는 지자체 복지담당 공무원들만이 ID를 통해 접속 가능한,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을 통해 가구별 소득을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일반 국민들은 행복e음에서 개별로 수입금액 확인이 불가능하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은 지자체 공무원의 복지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행정 내부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발표한 지원 계획에 따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서울시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대상자 선정 기준 (월 가구 소득 기준; 1000원미만 절사)

 

 

신청 및 제출서류

- 신청방법 :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서울복지포털 인터넷 신청

- 신청기간 : 3. 30.() ~ 5. 8.(), 40일간

- 제출서류 : 신청서 및 개인정보 제공동의서

 

 

신청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서울시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 절차

 

 

지원금은 제로페이와 연계된 모바일 상품권인 지역사랑상품권(서울권역은 '서울사랑상품권으'로 칭함)(휴대폰 핀번호 수령)이나 선불카드(직접수령)로 수령하며, 6월말까지 전액 사용해야 합니다. 

 

1. 선불카드 수령 [서울지역내 사용]

서울지역 내의 식당, 마트, 편의점 등에서 사용 가능. 클린카드 성격으로 유흥업소 등에서 사용 금지. (6월말까지 사용)

2. 지역사랑상품권 [자치구 지역내 사용]

각 지자체(구청) 지역내에서 수수료없는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제로페이 사용 방식에 따라 사용 가능 (6월말까지 사용)

 

 

또한, 지자체인 구청에서 발행하는 지역화폐 형식인 서울사랑상품권(서울시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수령하게 되면, 지원금액에서 10% 금액만큼 추가된 금액을 받게 됩니다. 4인가구 기준 지역사랑상품권 수령시에는 총 40만원(지원금) + 4만원(추가지원금) = 총 44만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서울사랑상품권 사용법

 

 

 

대신에, 지자체(ex. 서대문구청/종로구청/마포구청 명 등등) 명의로 발행되며 자신의 주소지 지역 지자체 내에서만 통용됩니다. (서울시 서대문구 주소지 ㅡ> 서대문구 내에서 제로페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각 자치구에서 통용되는 것으로, 서울시 전체 지역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하기에 대형마트나 유흥업종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지역 중소 영세 상인을 중심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조처입니다.

 

서울사랑상품권은 세대주 본인만 본인명의 휴대폰을 통해 PIN 번호 수령을 통해, 해당 앱을 깔고 디지털 상품권으로 수령이 됩니다. 특히, 타인이나 가족에게도 양도가 불가능합니다. 세대주 본인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정확히는, 세대주 본인의 휴대폰에서만 상품권 수령 및 상품권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불편을 고려해서 10%의 비용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 같습니다.

 

제로페이 가맹점은 아래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zeropay.or.kr/main.do?pgmId=PGM0081

 

제로페이

 

www.zeropay.or.kr

 

서울사랑상품권은 2020년 1월 기준, 17개 자치구에서 발행되어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편의점(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미니스톱), 음식점, 학원(보습 학원 및 각종 실용 학원 등), 서점, 중소 마트, 전통시장, 빵집, 노래방, 병원, 주유소, 헬스장, 공방, 미용실 등 기존 제로페이 가맹점(단, 이마트·롯데마트·다이소· 백화점 등 기업형 대형 가맹점과 사행성 사치 시설은 제외) 등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현재까지 종로구,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강동구에서 발행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

이번에 지원되는 긴급지원비는 1) 선불카드, 2) 서울사랑상푼권 모두

★. 6월말까지만 사용가능. 이후 잔액은 환수됨.

★. 유흥업소. 주류구매. pc방(코로나19로 인한 제한; 노래방은 되는지 미확인 중), 백화점 및 대형마트 에서의 사용은 금지됩니다. (ex. 롯데마트 사용 금지, 롯데슈퍼 사용 가능)

[사용가능한 곳]

편의점 (모두 가능)
식당/분식점 (대부분 가능 - 제로페이 가맹점)
전통시장 (가능 - 제로페이 가맹점)
미용실
롯데슈퍼
다이소

어떤 방식이 자신에게 유리한지 고민을 하시고 수령신청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아이씨엔 | 오승모 |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5다길41 2층 | 사업자 등록번호 : 206-11-69466 | TEL : 050-5379-1234 | Mail : sam55@daum.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