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 이이화 선생님 연보 및 저서 목록

2020. 4. 1. 23:273분 해설

 

이이화 선생님 연보
  • 1936년 대구 비산동에서 아버지 야산 이달 선생과 어머니 박순금 님 사이에서 출생
  • 7세 무렵(1942년)부터 주역의 대가인 부친 아래에서 한문 수학
  • 10세 무렵(1945년) 부친을 따라 충남 논산 수락리와 대둔산 석정암으로 이주
  • 14세 때(1949년) 안면도 개락금 지역으로 이주
  • 18세 때(1953년) 한영중학교 입학
  • 20세 때(1955년) 광주고등학교 입학. 은단 장사와 여관 종업원 일을 하며 고학
  • 23세 때(1958년) 서라벌예술대학(현 중앙대학교) 문예창작과 장학생으로 입학. 그해 부친의 별세로 중퇴. 이후 전국을 돌며 대학입시 문제집을 팔아 생계를 이어나감
  • 25세 때(1960년) 광주 집에 기거하면서 4.19 시위에 참여. 이후 서울에 올라와 친구 하숙집을 전전하며 취업 준비
  • 29세 때(1964년) 새로 창간된 《불교시보》 기자로 입사, 3년간 근무
  • 32세 때(1967년) 모친 별세
  • 33세 때(1968년) 《신동아》 별책부록 『한국 고전 백선』 작업에 참여, 천관우・박종홍・임창순・이숭녕 등 당대의 석학들과 교류. 이후 1974년까지 서울대 규장각에서 고문서 해제 작업
  • 34세 때(1969년)부터 5년간 동아일보사 촉탁직으로 《동아일보》 창간호부터 기사 색인 작업에 참여
  • 38세 때(1973년) 《창작과비평》에 군사정권에 대한 저항의식을 표출한 「허균과 개혁사상」 발표
  • 39세 때(1974년)부터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근무하며 본격적으로 한국사 연구에 돌입. 이듬해 《창작과비평》에 유신정권에 대한 비판을 내포한 「북벌론의 사상사적 검토」 발표
  • 41세(1976년) 김영희 여사와 백년가약
  • 42세 때(1977년) 학술지 《한국사연구》에 논문 「척사위정론의 비판적 검토」 발표, 학계의 주목을 받음. 다시 서울대 규장각으로 옮겨 1981년까지 해제 작업. 아들 응일 출생
  • 44세 때(1979년) 화곡동 자택에 ‘한문서당’ 개설
  • 45세 때(1980년) 5월 ‘서울의 봄’ 당시 학생들과 함께 시위에 참여. 첫 저서 『허균의 생각』(뿌리깊은나무) 출간
  • 46세 때(1981년) 전두환 정권하에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전문위원으로 임용되었으나 1년 남짓 근무 후 사직
  • 47세 때(1982년) 성심여대 국사학과에서 한국사상사 강의, 이후 10여 년 동안 대학 강단에 섬

  • 50세 때(1985년) ‘한길역사기행’, ‘한길역사강좌’에서 강의
  • 51세 때(1986년) 역사문제연구소 설립 후 초대 운영위원. 부소장, 소장 역임. 딸 응소 출생
  • 52세 때(1987년) 6월 민주항쟁 참여. 《역사비평》 창간준비호에 논문 「역사소설의 반역사성」 기고
  • 53세 때(1988년) 《한겨레신문》 창간 발기인, 학술단체협의회 상임공동대표 역임
  • 54세 때(1989년) 동학농민전쟁백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발족, 위원장으로 추대
  • 56세 때(1991년) 저서 『중국역사기행- 조선족의 삶을 찾아서』 출간
  • 58세 때(1993년) 《한겨레》에 ‘발굴 동학농민전쟁 인물열전’ 연재. 12월 동학농민전쟁100주년기념사업단체협의회 공동대표로 추대
  • 61세 때(1996년) 총 30권의 『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출간
  • 64세 때(1999년) 일본 오키나와에서 열린 ‘동아시아 평화와 인권을 위한 국제회의’(1999)에 참가
  • 66세 때(2001년) 단재학술상 수상
  • 67세 때(2002년)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지도위원, 한국전쟁전후민간인학살진상규명과명예회복을 위한범국민위원회 상임공동대표 역임
  • 67세 때(2003년) 민족문제연구소 지도위원
  • 69세 때(2004년) 고구려역사문화재단 공동대표, 고구려역사문화보존회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역임. 『한국사 이야기』 마지막 원고 탈고, 총 22권 완간(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을 위한 한국의 대표적인 책 100선’, 2007년 《한국일보》의 ‘우리 시대 명저 50선’에 선정)

 

  • 70세 때(2005년) 서원대학교 역사교육과 석좌교수로 초빙됨. 『만화 한국사 이야기』 7권 출간(2011년 9권으로 개정 증보). ‘임종국상’과 ‘단재상’ 심사위원,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와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자문위원 역임. 개성에서 열린 남북 역사학자 학술 토론회에 참가
  • 71세 때(2006년) 청명학술상 수상
  • 73세 때(2008년) 대통합민주신당(현 민주당) 18대 국회의원 후보 지역공천심사위원으로 활동. 허균허난설헌학술대상,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출판특별상, 녹두대상 수상
  • 74세 때(2009년) 진실과미래,국치100년사업공동추진위원회 공동대표로 추대. 『인물로 읽는 한국사』(전10권) 출간
  • 75세 때(2010년) 강제병합100년공동행동한국실행위원회 상임공동대표로 추대. 《한겨레》에 회고록 「길을 찾아서-민중사 헤쳐 온 야인」 연재(6개월 동안 121회)
  • 76세 때(2011년) 식민지역사박물관건립위원회 위원장, 동학혁명정신선양대회 대회장, 한일시민선언실천협의회 상임대표 역임. 자서전 『역사를 쓰다』 출간
  • 78세 때(2013년) 역사교육에 대한 권력과 정치의 개입을 규탄하는 16인의 원로학자 중 한 사람으로 ‘한국사 교과서와 역사교육 문제에 대한 원로 교수 기자회견’ 참석
  • 79세 때(2014년) 원광대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 수여. 『전봉준, 혁명의 기록-동학농민전쟁 120년, 녹두꽃 피다』 출간
  • 80세 때(2015년) 역사 교과서 국정화 행정 예고 철회와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 사퇴를 촉구하는 원로학자 22인에 참여. 『한국사 이야기』 개정판 출간
  • 81세 때(2016년) 『거리에서 국정교과서를 묻다』 공동 집필. 《경향신문》의 ‘경향 70년, 70인과의 동행’에서 명사 70인에 선정
  • 82세 때(2017년) 전봉준장군동상건립위원회 창립, 이사장으로 추대. 저항운동의 태동기인 19세기 민중봉기를 다룬 『민란의 시대-조선의 마지막 100년』 출간
  • 83세 때(2018년) 전봉준 장군 동상 제막식 주관. 민족문제연구소 이사 취임. 역사에세이 『위대한 봄을 만났다』 출간. 8월29일 ‘식민지역사박물관’(건립위원회 위원장) 개관
  • 84세 때(2019년) 동학농민혁명정신을 계승‧발전시키는 데 헌신한 공로로 전주시 명예시민에 선정
  • 2020년 3월 18일 오전 11시 향년 84세를 일기로 별세
  • 정부, 역사 대중화와 역사정의 실현에 끼친 고인의 공적을 인정 국민훈장 무궁화장 추서

 

[링크 안내]

민족문제연구소: https://www.minjok.or.kr 

 

민족문제연구소

주요기사 [오마이뉴스] 대한민국 포병의 아버지? 그는 일제에 충성한 일본군 장교였다. 2020년 4월 1일 [미디어오늘] 친일인명사전은 동아일보 김성수를 뭐라고 기록했을까 2020년 4월 1일 [한국일보] 일본 또 역사 도발… “군함도 강제노역 없었다” 2020년 4월 1일 [오마이뉴스] 충남도 “역대 도지사 친일 행적 기록·게시하겠다” 2020년 3월 25일 민족사랑 2020년 03월호 2020년 3월 25일 이이화 선생님의 역사 정신, 우리 가슴에 살

www.minjok.or.kr

이이화선생님 추모 누리집: http://rememberleeewha.com/

 

Homepage

1980     『허균의 생각』, 뿌리깊은나무, (2014년 개정) 1984     『역사와 민중 : 우리나라 역사의 새 모색』, 어문각 1985     『한국근대인물의 해명』, 학민사 1986     『한국민중의 삶과 저항의 역사』, 한길사 1988     『인물 한국사』, 한길사 『한문강좌』, 한길사 1989     『역사인물 이야기』, 역사비평사 1991     『우리 겨레의 전통생활』, 여강출판사 1993     『중국역사기행』, 웅진출판 1993

rememberleeewha.com

 

[이이화 선생님 저서]


//청소년 도서//

1994 「웅진한자교실」(시리즈 전 3권), 웅진출판

「겨레의 역사를 빛낸 사람들」(시리즈 전7권), 한길사, (2008년 개정)

「우리들의 한문교실」(공저), 한길사

2003 「어머니가 없는 나라 일본」(역저), 집문당

2004 「만화 한국사 이야기」(시리즈 전 7권), 삼성출판사

2005 「고구려 바로 알기」(시리즈 전2권), 행복한아이들

2006 「만화 인물 한국사」(시리즈 전3권), 또래마루

「고구려:찬란했던 700년 역사」, 언어세상, (2016년 개정)

「조선의 왕릉」(공저) 『신나는 교과서 체험학습』 시리즈 82, 해피북스

2007 「해동성국 발해」, 사파리

2008 「대한민국 청소년에게」(공저), 바이북스, (2019년 개정)

2009 「황금교실」(한국사 시리즈 전 3권), 삼성출판사

「이이화의 한문공부」, 역사비평사

「이이화 선생님이 새로 쓴 초등급수 한자의 달인」, 계림북스

2011 「이이화 선생님이 들려주는 만화 한국사」(시리즈 전9권), 삼성출판사

「이이화 선생님이 들려주는 이야기 한국사」(시리즈 전2권), 파란하늘

「길 위의 인문학」(공저), 경향미디어

「그대 아직도 부자를 꿈꾸는가」(공저), 양철북

2012 「청소년을 위해 쉽게 풀어쓴 이이화의 인물 한국사」(시리즈 전5권), 주니어김영사

「동학농민운동」, 사파리

2013 「고사성어」, 계림북스

「배움도 깨달음도 언제나 길 위에 있다」(공저), 교보문고

2014 「이이화의 주제로 보는 한국사」(시리즈 전3권), 풀빛미디어

「그가 그립다」(공저), 생각의길

2015 「이이화 역사할아버지가 들려주는 이야기」(파랑새 풍속여행 시리즈-전 10권)(공저), 파랑새

2019 「나의 첫 한자책」(공저)(시리즈 전3권), 휴먼어린이

 

//출간 저서//

1980 『허균의 생각』, 뿌리깊은나무, (2014년 개정)

1984 『역사와 민중 : 우리나라 역사의 새 모색』, 어문각

1985 『한국근대인물의 해명』, 학민사

1986 『한국민중의 삶과 저항의 역사』, 한길사

1988 『인물 한국사』, 한길사

『한문강좌』, 한길사

1989 『역사인물 이야기』, 역사비평사

1991 『우리 겨레의 전통생활』, 여강출판사

1993 『중국역사기행』, 웅진출판

1993 『이야기 인물한국사』(시리즈 전5권), 한길사

1994 『동학농민전쟁』, 한겨레신문사

『조선후기의 정치사상과 사회변동』, 한길사

『한국사의 주체적 인물들』, 여강출판사

1997 『허균』, 한길사

1999 『이이화의 역사풍속기행』, 역사비평사

2000 『이이화의 못 다한 한국사 이야기』, 푸른역사

2002 『역사 속의 한국불교』, 역사비평사

2004 『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시리즈 전 22권), 한길사, (2015년 개정)

『한국의 파벌』, 솔과학

『역사는 스스로 말하지 않는다』, 산처럼

『대접주 김인배, 동학농민혁명의 선두에 서다』(공저), 푸른역사

2005 『한국사 나는 이렇게 본다』, 길

2006 『이대로 주저앉을 수는 없다』(공저), 혜안

『녹두장군 전봉준』, 중심

2007 『역사』, 열림원

2008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리니』, 김영사

2009 『인물로 읽는 한국사』(총서 전 9권), 김영사

2010 『백두산을 오르며 만나는 우리역사』, 리북

2011 『역사를 쓰다』, 한겨레출판

2012 『처음 만나는 우리 문화』, 김영사

2014 『전봉준 혁명의 기록』, 생각정원

『충청도 예산 동학농민혁명』(공저), 모시는사람들

『1871년 경상도 영해 동학혁명』(공저), 모시는사람들

2015 『호남, 인문에 말을 걸다:호남기록문화유산 시민강좌』(공저), 심미안

『전라도 남원 동학농민혁명』(공저), 모시는사람들

『경상도 대구 동학농민혁명』(공저), 모시는사람들

2016 『이이화의 한 권으로 읽는 한국사』, 교유서가

『거리에서 국정 교과서를 묻다』(공저), 민족문제연구소

『경상도 구미 동학농민혁명』, 모시는사람들

2017 『민란의 시대』, 한겨레출판사

『경상도 김천 동학농민혁명』, 모시는사람들

『경기도 수원 동학농민혁명』, 모시는사람들

2018 『충청도 영동 동학농민혁명』, 모시는사람들

『이이화의 이야기 한국불교사』, 불광출판사

2019 『이이화의 명승열전』, 불광출판사

 

//논 문//

1973 「허균과 개혁사상」, 『창작과 비평』 제8권 3호

1975 「북벌론의 사상사적 검토」, 『창작과 비평』 제10권 4호

1977 「척사위정론의 비판적 검토」, 『한국사연구』 18호

1979 「규장각 소고」, 『규장각』 제3집

1984 「남명집 이본 검토」, 『규장각』 제8집

「19세기 전기의 민란연구」, 『한국학보』 제10권 2호

1987 「역사소설의 반역사성-동학농민전쟁관계 소설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1988 「민중 그들은 누구인가」, 『수원대문화』 4호

「정인홍의 정치사상과 현실인식」, 『경남문화연구』 제11호

「인간과 신의 차이-최시형의 역사적 재평가-」, 『역사비평』 제1집

1989 「‘쌀’과 제국주의」, 『역사비평』 계간5호

「전봉준과 동학농민전쟁」, 『역사비평』 계간7호

「오지영 『동학사』의 내용검토」, 『민족문화』 12권

1990 「투쟁-반봉건 변혁운동과 집강소」, 『역사비평』 계간8호

「전봉준, 반제의 봉화 높이 들다」, 『역사비평』 계간9호

「농민군의 전면 항쟁과 그 최후」, 『역사비평』 계간10호

1991 「민중생활 100년사 한말-성냥과 석유를 처음 쓰던 시절」, 『역사비평』 계간13호

「황현의 『梧下記聞』에 대한 내용 검토-1894년 동학농민전쟁의 기술을 중심으로-」, 『서지학보』 제4호

「눈물의 통일학」, 『사회평론』 10호

1992 「이완용의 곡예 –친미·친로에서 친일로」, 『역사비평』 계간17호

「임창순-4·25교수데모에 앞장선 한학·금석문의 대가」, 『역사비평』 계간18호

「소설 『동의보감』은 역사를 옳게 봤는가?」, 『역사비평』 계간19호

「이승훈 관계문헌의 검토: 『蔓川遺稿』를 중심으로」, 『교회사연구』 8호

1994 「동학농민전쟁의 역사적 의의」, 『백제문화』 제23집

「동학농민전쟁의 현재적 의미」, 근현대사강좌

1995 「동학농민전쟁 백주년을 되돌아보며」, 『역사비평』 통권 28호

「동학농민전쟁과정에서 나타난 장성전투의 의미」, 『호남문화연구』 제23집

2001 「문장으로 나라를 사랑한 황현」, 『내일을 여는 역사』 제4호

「고려시대의 개경」, 역사비평 통권 54호

「역사학은 실천이 따라야」, 『내일을 여는 역사』 제7호

2002 「신숙주의 문학과 사상」, 10월의 문화인물 제10호

2003 「동학농민혁명과 충북, 그리고 그 정신」, 『충북학』 제5권

2004 「고구려사는 현재사다」, 『용봉인문논총』 제33권

「만주지역 항일 유격대 활동과 북한의 항일정신」, 『민족사상연구』 제12권

2005 「『매천야록』은 근대사의 보고」, 『창작과 비평』 통권 제128호

「과거사 청산은 어떻게 해야 하나」, 『내일을 여는 역사』 제19호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 『역사비평』 통권 73호

2006 「과거사 청산과 역사가의 사명」, 『내일을 여는 역사』 제23호

「월드컵 풍경을 보고」, 『내일을 여는 역사』 제25호

2008 「과거사 청산과 이 시대인의 사명」, 『역사와 경계』 67호

2013 「역사는 누가 읽는가?」, 『내일을 여는 역사』 제50호

「1890년대 변혁지향운동과 1894년 동학농민혁명의 연계성」, 『중원문화연구』 21호

 

제공. 민족문제연구소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아이씨엔 | 오승모 |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5다길41 2층 | 사업자 등록번호 : 206-11-69466 | TEL : 050-5379-1234 | Mail : sam55@daum.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